본문 바로가기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방법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방법

 

일정 나이가 도달해야 받을수 있는 국민연금이 조건에 따라 일시불 수령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나의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 나의 연금 예상수령액 확인하기

 

법 제 77조에 다른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가입기간 10년 미만인 자가 60세가 된 경우 (단, 특례노령연금 수급권자는 해당되지 않음)

2.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하였으나 유족연금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3. 국적을 상실하거나 국외로 이주한 경우

 

이렇게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조건을 알아봤는데요. 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은 위에 내용처럼 가입자가 연금을 받기위한 기간을 채우지 못했거나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서 더 이상 납입이 불가능 한 경우 그동안 납입된 적립금을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액은 납입 원금에 3년 정기예금 이자율을 적용해서 수령이 가능한데요.

 

 

 

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의 경우 수급권이 발생한 날로 부터 5년 이내에 청구해야 받을수 있습니다.

 

즉 반환일시금은 위에 언급한 사유들 처럼 더이상 국민 연금 가입자로 될수 없는 경우에만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일시불 수령조건중 국외로 이주한 경우 역시 이주가 아닌 취업 학업등의 사유로 체류하는 경우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또한 반환일시금을 지급 받은 경우에는 가입기간의 소멸로 다른 연금을 지급받을수 없으며 다시 국민 연금 가입자가 된 경우는 일정 이자를 더하여 반납함으로써 가입기간이 복원될수 있다고 합니다.

 

그외에 국민연금 관련된 글들은 아래 글을 간단하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알아보자
▶나의 예상 수령액은 얼마
▶국민연금 최대 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연기연금 제도로 최대 36% 더 받는 방법
▶기초연금 40만원 언제부터?
▶국민연금 일시불로 받으려면?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무엇이 다른가
▶국민연금 조기수령은 언제부터 가능할까요